Lesson 1. 기본 출력
console.log 메소드를 사용한다
3가지 방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다
1. "안녕 자바스크립트! " : 큰 따옴표
2. '안녕 자바스크립트! ' : 작은 따옴표
3.
`
안녕
자바스크립트!
`
: 백틱( ` )
특수문자를 포함시킬 때는 다른 따옴표를 쓰거나 \을 사용한다
console.log("He says \"It\'s a simple sentence\".");
줄바꿈은 \n을 사용하거나 `(백틱)을 사용한다
console.log("Hello world\nJavaScript");
console.log(`Hello world
JavaScript`);
숫자 사이에 공백을 두고 출력하려면 ,을 사용하거나 + " " + 을 사용한다
3 5를 출력하려면
console.log(3,5); 또는
console.log(3 + " " + 5);을 사용한다
Lesson 2. 변수와 자료형
변수는 값을 담는 공간(정수, 실수, 문자값 등을 담을 수 있다)
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 또는 const를 사용한다
(let은 값 변경 OK const는 값 변경 X)
let a = 5;
const b = 3;
JS에서는 정수 ~
2개 이상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 가능하다
let [a,b] = [5,3];
let c = a + b;
console.log("c =", c);
//출력 -> c = 8
let a = "helloWorld";
Lesson 3. 출력 형식
변수 포맷의 활용 (정수 %d %i, 실수 %f, 문자열 %s)
let a = 5;
console.log("A = %d", a);
+를 사용해서도 차례대로 출력할 수 있다
let a = 5;
console.log("A = " + a);
문자열끼리의 +연산은 문자열을 붙여준다
템플릿 리터럴(Template Literal) ` 사용
let a = 5;
console.log(`A is ${a}`);
Lesson 4. 소수점 맞춰 출력
toFixed(n)함수를 활용하면 소수점 n번째 자리까지 값을 반올림
let a = 3.354624;
console.log(a.toFixed(4));
console.log(a.toFixed(2));
출력결과: 3.3547, 3.36
Lesson 5. 변수 값 변경
변수 값 교체는 let만 되고 const는 고정(안됨!)
-> JS가 동적 타이핑 언어이기 때문에 가능
동적 타이핑: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변수의 자료형을 결정
a = 1 넣을 때 a가 number가 되고
a = Hello가 될 때 a가 string이 된다는 뜻
자료형을 신경 안써도 되니까 편하지만 좀 느리다
Lesson 6. 다른 변수로부터 값 변경
let a = 3;
let b = 4;
일 때
b의 값을 a에 넣을 수 있다.
Lesson 7. 두 변수 값을 교환
크게 2가지 방법이 가능하다.
1. temp이용 (추가 변수 이용)
let [a,b] = [3,5]
let temp = a;
a = b;
b = temp;
2. []을 이용해 바로 교환하기
let [a,b] = [5,3];
[a,b] = [b,a];
Lesson 8. 변수값 동시에 복사
let [a, b, c] = [2, 4, 7];
a = b = c;
'개인공부 > 코드트리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Chapter 6. 다중반복문 (0) | 2025.05.10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Chapter 5. 단순 반복 (0) | 2025.05.10 |
자바스크립트 Chapter 4. 조건문 (0) | 2025.05.06 |
자바스크립트 Chapter 3. 연산자 (0) | 2025.04.29 |
자바스크립트 Chapter 2. 입출력 (0) | 2025.04.29 |